2021 성균관대와 함께하는 진로 멘토링

Table of contents

[컴퓨터교육과]의 진로와 교육과정

컴퓨터교육과 = 정보기술공학 + 교육

사범대학의 목적성에 따르는 교사로의 진출과 정보기술관련 전문개발자로의 진출 등 폭넓은 진로

교육과정도 이에 맞게 전문직업인형, 교사진로형으로 로드맵 구성

교육과정 구분

  1. 전공과목

전공코어는 졸업을 위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과목으로, 컴퓨터 관련 기초적인 이론부터 전문적인 내용의 과목, 교육과 관련한 과목으로 일어져 있다.

전공심화는 자신의 진로나 흥미에 따라서 선택하는 과목으로, 객체지향 / 증강현실 등이 있다.

기본이수과목은 사범대학에 포함된 학과마다 이수해야 하는 과목으로, 21학번 기준 9과목이 있다.

  1. 교직과목

교직이론, 교직소양, 교육실습으로 이뤄져 있는 과목으로 사범대학생으로서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교직 관련 과목이다.

이외에 교육봉사활동 60시간, 교직인적성검사, 다양한 활동을 이수해야 한다.

교육과정 로드맵

코어: 기본프로그래밍 / 컴퓨터교육개론 / 인터넷윤리

코어: 자료구조 / 논리회로 / 리눅스 / 피지컬 컴퓨팅

심화: 객체지향 / 데이터과학

코어: 데이터베이스 /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 알고리즘

코어: 인공지능

심화: 컴퓨터보안 / 정보시스템

인공지능 SW-교육 해커톤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해커톤

CMD 학회

CMD 활동

정규세션

정규 세션 예시

이론 + 간단한 실습 또는 퀴즈로 구성함

정규 세션 주제들

  1. github 사용법
  2. 자료구조 총정리
  3. 시간복잡도와 그 예시
  4. 공개키 암호, 대칭키 암호
  5. 운영체제의 역할
  6. CPU와 GPU
  7. 캐시와 레지스터
  1. 보다 편리한 코딩 즐기기
  2. WEB으로부터 정보 얻기
  3. Programming Paradigm 정복하기
  4. 인공지능 및 최신 기술 즐기기

스터디 운영

  1. 웹, 인공지능, 게임 엔진 등 원하는 주제의 스터디 진행
  2. 매주 스터디 시간 전까지 맡은 부분 공부해오고 발표
  3. 세션에 따라 과제물 제출

스터디 소개: 웹 프론트엔드 스터디

웹 강의들 시청하며 스스로 공부

선택강의들 분배하고 공부해서 발표

클론코딩, 영화 웹서비스 만들기 등의 실습

공부한 기록을 남는 방법: 깃허브, velog

프로젝트 진행

  1. 하고 싶은 주제를 다루는 팀원을 찾아 조를 짠다.
  2. 그 후 회의를 통해 세부적인 목표를 정한다.
  1. 11주간 진행할 일정을 세부적으로 작성한다.
  1. 정해진 목표에 따라 프로젝트를 열심히 진행한다.

기타

  1. Notion 활용
  2. 관심 분야가 같은 학우들을 만나 정규 과정 외에도 다양한 사이드 스터디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공모전 등 대회에도 진출

Q&A

Q. 컴퓨터교육과랑 컴퓨터공학과는 무슨 차이가 있나요? A. 컴퓨터교육과, 컴퓨터공학과는 많이 다릅니다, 다른 점에서는 컴퓨터교육과에서는 교직 이수가 포함 되어 있지만 컴퓨터 공학과에서는 포함 되어 있지 않습니다.

Q. 문과에서도 들어갈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Q. 컴퓨팅 언어로는 뭐가 있나요?

A. C, 파이썬, 자바가 있습니다. C는 절차지향, 자바는 객체지향 이고 파이썬은 머신러닝이나 데이터 베이스에 사용되는 언어입니다. 그리고 처음 접해보는 사람이면, 스크래치로 입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컴퓨팅 언어를 접하고 싶다면 C, 파이선을 추천합니다.


이렇게 하여 성균관대 진로 멘토링을 끝났는데,

사전 질문 중에 저의 질문이 나오지 않아서 아쉬웠지만 컴퓨터교육과가 있다는 것을 알게 해주었고 괜찮은 학과인 거 같았습니다.

/skku/ /mentoring/ /2021/